CATEGORY

분류 전체보기 (73)
세상사는이야기 (27)
회사이야기 (7)
친구들이야기 (6)
공부이야기 (33)
개인적인이야기 (0)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ARCHIVE

LINK



  1. 2008.12.11
    오랜만에 전공책 지르다.
  2. 2008.12.11
    구글링 방법 하나
  3. 2008.11.28
    품앗이(PUMASI) 세미나
  4. 2008.11.18
    OpenOffice 3.0 한글판 출시
  5. 2008.11.18
    아.. 다시 시작하자..
  6. 2008.11.13
    [도서] 마지막 강의 : THE LAST LECTURE (양장)
  7. 2008.11.13
    한영키 변환
  8. 2008.10.06
    전라도를 다녀오다.. 4
  9. 2008.09.29
    바다보러가고 싶다...
  10. 2008.09.26
    Cron
And
아 이걸 이제 알았다니.. ㅠㅠ 가슴이 아프다..
 
  • python filetype:pdf
    : 이러면 python pdf파일만 찾아준다.
  • 비교

And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http://openoffice.or.kr/main/

라이센스 걱정 없는 무료 오피스 스위트!

오픈오피스는 윈도우 및 리눅스를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무료 오피스 스위트입니다. 개인적인 용도 뿐안 아니라 회사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라이센스 걱정이 전혀 없습니다.

MS 오피스와 호환성이 걱정되신다구요? 오픈오피스를 이용하면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파일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아래아한글 3.0 / 97 파일을 읽는 것도 가능합니다.

여러분이 작성한 문서를 친구에게 보내야 할 때는 강력한 PDF 저장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서를 PDF 형식으로 저장하는데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영문판은 있었는데, 한글판은 최근에 공개 되었네요.
지금 막 설치해서 이것저것 불러 보았는데, 엑셀같은경우 워낙 정규화가 되어있어서 잘 열리는듯 하나, 2007워드나 PPT 경우 깨지거나 제대로 보이지 않는군요.
말그대로 호환일듯합니다. 아직 OpenOffice에서 작성한 것을 MS Office에서 불러보지는 않았지만.. 더 발전하겠죠..

And
요즘.. 한참동안.. 이놈한테.. 신경을 안썼더니..

다시.. 신경좀 써줘야지.. 낄낄낄
And
And

한영키가 키보드에 추가되기 시작한, 86키, 103키 키보드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한영 전환을 했었습니다. Shift + 스페이스 바라던가, 여러가지가 있었죠. 그런데 요즘 Windows를 설치하면 한/영키로만 된다던가, 또는 오른쪽 Alt 키가 한영 키로 전환되는 경우를 볼 수 있을 겁니다. 마음대로 정할 수도 없고 대체 어디서 바꿀 수 있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여기에 있는 레지스트리 값을 고쳐주면 됩니다만, 레지스트리를 직접 건드리는 건 실수하면 위험하니 추천하진 않습니다. 자! 제가 간단히 바꿀 수 있는 레지스트리를 올려놓도록 하죠.

Hangul_Hankey.reg
간단합니다. 103/106키 키보드의 한/영키로 한글, 알파벳 모드를 전환하고 한자키로 한자 전환을 합니다. 레지스트리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읽어준 다음 재부팅하면 적용됩니다.

Hangul_Shift-Space.reg
이 파일은 Shift 스페이스로 한영 전환을 하고, Ctrl 스페이스로 한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분을 위한 파일입니다. 적용 방법은 똑같습니다.

Hangul_Right_Alt.reg
이 파일은 오른쪽 Alt로 한영 전환, 오른쪽 Ctrl 키로 전환하려는 분에게 필요한 파일입니다. 일본어 IME와 한/영 키의 충돌 문제로 일본어 IME로 전환하면 KANA 모드가 켜져있어 매번 IME에서 그 키를 눌러줘야 하는 분들에게는 아주 좋습니다. KANA 모드가 무엇인고 하니 aiueo 하고 입력하면 あいうえお가 입력되는 게 아니라 ちにないら처럼 이상하게 입력되는 경우입니다. 이건 이상한 건 아니고 일반적인 입력이 발음 기호대로 입력하는 것이라면, KANA 모드는 키보드 키에 각기 카나가 하나씩 매칭된 것입니다. 즉 일본어 키보드에서나 쓸 수 있는 모드이죠. 그것을 벗어나려면 한/영키를 쓰지 않으면 됩니다. 이것은 한/영키의 키 값이 일본어 키보드의 카나 전환 키와 같아서 일어나는 IME 버그입니다. 익히 잘 알려져있지만 해결되고 있지 않고 피하는 방법도 잘 알려져 있지 않죠. 그외에도 노트북을 쓰시는 분들도 이 파일을 쓰시면 됩니다.

기존에 알려진 방법으로 제어판에서 키보드 드라이버를 강제로 바꿔주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USB 키보드를 쓰거나 HID(Human Interface Device) 등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방법을 쓸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레지스트리를 직접 고쳐주면 아주 간단하게 그것을 바꿀 수 있죠. 한/영키가 이상하게 동작하거나, 다른 키로 바꾸고 싶은 분들은 이 방법을 쓰시면 됩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떤 것으로 바꿔도 한/영키는 동작은 합니다. 한/영키를 죽이거나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이 방법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전에 소개한 키를 다른 키로 바꿔 쓰고 싶을 때? KeyTweak 를 써도 불가능합니다. 한/영키를 바꾸려고 눌러도 KeyTweak이 인식하지 않거든요.
And
지난 토요일(9월 4일) 아침 연택군의 전화를 받고..

씻고 부랴 부랴..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연택군과 용산으로 출발

9시 용산 도착, 첫 목적지 순천행 기차에 몸을 싣고.. 출발

익산에서 순천행 기차로 갈아 탄다음 2시30분쯤 순천 도착

순천에서 첫 목적지인 낙안읍성을 향해 출발....

낙안읍성까진... 어느 노부부와 함께 택시로 이동했다..

낙안읍성에서.. 허기진 배를 채우고 ( 꼬막과 파전 동동주를 먹었지만.. 맛이 없었다.. 배가
고파.. 허겁지걱 먹었다)이후 2시간 정도 둘러본 다음 다음 목적지인 송광사를 향해 출발

버스를 타고 송광사에 도착하니 6시가 다 되었다...

벌써.. 날이 어두워 지고 있었으므로 최대한 빨리 이동후 1시간 가량 둘러 보았지만..

늦게 도착한 관계로 제대로 보지도 못했다.. 연택군 말로는 송광사는 3대 사찰중 하나라는

데 제대로 보지 못해 아쉬었다. (개인적으론 부산 용궁사가 더 멋졌지만.. ㅋㅋ)

이후.. 오후 8시경 순천터미널에서 여수로 이동 10시쯤 도착해서 택시로 돌산대교로 이동

야경이 좋다고 해서 갔는데.. 영..-_- 도착하자마자 회센터로 이동... 10시쯤 저녁을 해결..

그닥 맛이 없었다.. 비싸기만 하고.. ㅠㅠ

돌산대교를 이동하면서.. 연택군을 사진기를 연발 눌러대고 난 빨리 가자고 궁시렁 궁시렁
택시를 타고 선소로 이동.. 우리가 첫날 일박할 장소로 이동...

선소에서 하루밤을 묵을 모텔을 정해 놓고.. 그 모델 앞.. 벤치에서 맥주를 마시며...

2시경 잠을 청했다..

다음날 10시쯤 일어나 오동도를 가기 위해.. 버스를 하염없이 기다리다 (1시간이상 기다렸

다ㅠㅠ) 도저히 오지 않아.. 버스가 자주 온다는 장소로 이동후 오동도로 이동했다.

오동도 입구에서.. 점심을 해결 (게장백반 첨으로 배부른 식사를 나름 만족) 오동도를 한

바퀴 둘러본뒤 좀쉬다가.. 여수역에 5시쯤 도착...

헉... 기차에 자석이 없었다.. 이런.. 미리 표를 구했어야 했는데.. 우린 여수버스터미널로

이동 서울행 버스를 타고... 서울 강남 도착 오후 11시경.. 와.. 무지 지겨웠다..

이렇게.. 두서 없이 생각나는 대로 순천, 여수 여행기를 마친다..
And
이번 주말에 고고....

같이 가실분....흑흑..
And
 

[ cron 이란 ? ]

 

  특정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가 만약 매일 새벽 5시에 DB 백업을 받아야 한다고 가정한다면, 매일 DB 백업을

  받기 위해 새벽 5시에 출근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럴때 CRON 으로 작업을 스케줄링

  으면 cron 데몬이 알아서 백업을 받아준다.

 

[cron 설정하기 ]

 

  RedHat 경우 /etc/crontab 이란 파일있다.

  기본적으로 cron 데몬은 파일을 최초로 읽어 들인다.

 

  [root@soma] vi /etc/crontab

 

  SHELL=/bin/bash

  PATH=/sbin:/bin:/usr/sbin:/usr/bin

  MAILTO=root

  HOME=/

 

  # run-parts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기본적인 crontab 내용이다.

 

  [] [] [] [] [요일] [실행명령]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위의 내용을 보면 /etc/crontab 읽어 들이면서 crontab 내용 안의 4 가지 파일을

  설정된 시간에 맞춰서 실행한다.

 

  1.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 매월,매일,매시,01 분에 /etc/cron.hourly 실행한다.

  2.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 매월,매일 4 02 분에 /etc/cron.daily 를 실행한다.

  3.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 매주일요일 4 22 분에 /etc/cron.weekly 실행한다.

  4.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 매월 1 4 42 분에 /etc/cron.monthly 를 실행한다.

 

[ 예제]

 

  매일, 매시간10, 20 분에 /home/imsi/public_html/ 내의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를

  imsi.tar.gz 파일명으로 압축하고 나서 imsi.tar.gz 파일을 /home/imsi/back 이란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것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다.

 

  1. /etc/crontab 설정하기

 

     [root@tgs] vi /etc/crontab

 

     SHELL=/bin/bash

     PATH=/sbin:/bin:/usr/sbin:/usr/bin

     MAILTO=root

     HOME=/

 

     # run-parts

     10,20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2. /etc/cron.hourly 스크립트 만들기

 

     [root@tgs]vi /etc/cron.hourly/imsi

 

     #!/bin/sh

 

     tar cvfz /home/imsi/imsi.tar.gz /home/imsi/public_html/*

     mv /home/imsi/imsi.tar.gz /home/imsi/back/

 

[ 옵션 사용하기 ]

 

  1. crontab -l : 현재 설정되어있는 cron 리스트를 출력한다.

 

  2. crontab -e : 옵션으로도 cron 설정할 수 있다.

 

  3. crontab -r : 옵션은 현재 설정되어있는 모든 cron 설정을 지운다.

                  etc/crontab 설정된 내용은 지워지지 않는다


And